보내는 기사
특전사 "국가중요시설 헬기 착륙 가능 지점 확인은 테러 대비 정상 활동"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2024년 12월 3일 국회 뒤편 운동장에 착륙한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 헬기에서 병력들이 내려 국회로 진입하고 있다. 국회사무처 제공
육군 특수전사령부는 6일 '특전사가 12·3 불법 계엄 9개월 전인 지난해 3월 국회 등 국가주요시설 인근에 헬기를 착륙할 수 있는 장소를 점검하는 등 비상계엄을 사전에 준비했다'는 의혹에 대해 "테러대비태세 확립을 위한 정상적인 활동"이라며 "비상계엄과 연관성이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일부 매체는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특전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등을 인용해 "특전사는 계엄 9개월 전부터 국회 등 서울 지역 국가중요시설에 헬기를 착륙시킬 수 있는 지점을 조사해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들은 △서울에서 발생한 테러는 수도방위사령부가 대응하는 점 △국가중요시설 현황은 합동참모본부가 관리하는 점 △국회를 포함해 서울 내 국가 중요시설에 대해 헬기 착륙 지점을 확인한 적이 없다는 점 등을 근거로 특전사의 이런 활동이 계엄 사전 준비 정황으로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합참과 특전사는 이날 의혹의 근거들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특전사는 서울 지역 테러 발생 시 국가 지정 대테러부대로서 작전을 실시하도록 돼 있으며, 헬기 착륙 지점 현황은 합참의 지시에 따라 작전부대인 특전사가 병력을 즉각 투입하기 위해 파악한 것으로 과거에도 주기적으로 최신화해왔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합참 관계자는 "특전사는 지역별로 대테러 작전 부대를 두고 있지만, 기동성과 전투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서울을 포함한 전국을 관리하고 있다"며 "헬기 착륙 장소 현황은 신축 건물이 생기거나 기존 데이터베이스에서 변화가 생기는 경우 필요에 따라 지속적으로 최신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합참은 국가중요시설 목록은 비밀이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전사는 12·3 불법 계엄 당일 12대의 헬기를 동원해 707특임단 병력 197명을 침투시켰으며, 국회 본청 뒤편 운동장에 헬기를 착륙시킨 바 있다. 이 밖에도 계엄 당시 국회에 투입됐던 제1공수특전여단이 지난해 7월 국회에 설계도를 요구했고, 7공수특전여단이 지난해 5월 전북지역 교도소를 수차례 방문해 내부 설계도 등을 요구한 점 등을 근거로 특전사의 계엄 사전 준비 의혹이 제기됐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