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사설] 이산가족 협상, 고위급 합의 살려 반드시 결실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추석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이 열렸으나 기대했던 성과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이번 실무접촉은 지난달 남북 고위급 합의에 따른 첫 구체적 실현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산가족 상봉이 의제지만 전반적인 남북교류의 동력을 살려나가야 할 첫 디딤돌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할 얘기도 많고, 그만큼 조정해야 할 이견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남북이 진솔한 자세로 머리를 맞대 추가 협상에서 내실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기를 기대한다.
실무접촉의 구체적 안건은 상봉행사의 규모와 장소, 시기 등이다. 가장 최근이었던 지난해 2월 상봉처럼 금강산에서 남북 각각 100명 정도로 추진하는 것으로 결론 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문제는 시기다. 행사 준비에 한달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당국의 설명인데, 공교롭게도 북한의 노동당 창건 70주년(10월 10일)과 겹친다는 게 고민이다. 70주년을 전후한 북한의 4차 핵실험이나 장거리미사일 발사 가능성은 잘 알려진 바다. 상봉행사를 그 전에 해 북측의 도발 분위기를 차단해 보자는 우리측 입장과, 창건행사에 집중해야 하는 만큼 상봉을 그 뒤로 하자는 북한의 주장이 맞설 가능성이 크다.
상봉행사 외에 전면적인 이산가족 생사 확인, 이산가족 서신교환 및 화상 상봉, 이산가족 고향방문, 상봉 정례화 등 우리가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 해법으로 제시한 의제에 대해 북한이 얼마나 달라진 입장을 내놓을 지도 주목된다. 한번에 100명 정도의 제한된 만남으로는 6만6,000명이 넘는 우리측 이산가족 생존자의 한을 풀어줄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더욱이 생존자 대부분은 70대 이상 고령이다. 더 늦기 전에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근본대책을 반드시 도출해야 할 이유다. 과거 북한은 이를 거부하면서 행정적 어려움을 이유로 내세웠으나 이산가족문제를 반대급부를 얻기 위한 정치적 흥정으로 이용해 온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북한이 이번에도 상봉시기나 생사확인 등을 금강산관광 재개나 5ㆍ24 조치 해제 등과 연계시킬 가능성이 적지 않다.
어렵게 남북 접촉이 성사된 만큼 우리 정부도 금강산관광이나 5ㆍ24 조치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도 필요하다. 이번엔 힘들더라도 이어질 당국 간 회담에서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룰 수 있도록 공감대를 넓히려 노력해야 한다. 그렇잖아도 한중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제시한 ‘평화통일’ 어젠다에 대해 북한이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남북간 헤쳐나가야 할 난관이 적지 않음을 직시해서 이번 접촉의 첫 단추를 잘 꿰기를 바란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