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 공존
동물 싸움을 없애는 새로운 전통
내년부터 다섯 개의 지방자치단체가 소싸움 대회 지원 예산을 편성하지 않는다. 소싸움 경기장을 운영하는 청도도 축제 예산을 편성하지 않았으니 큰 변화다. 소싸움에 이용되는 소를 훈련시키고 억지로 싸움에 이르게 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비인도적 행위와 소싸움에서 소가 겪는 심각한 부상은 오랫동안 비판받아왔다. 최근 발표된 정읍녹색당의 설문조사에서 드러났듯, 10여 년간 지속된 시민단체의 노력과 대중의 인식 변화는 소싸움의 폐지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물론 다수의 의견은 아니지만 소싸움을 전통문화로 보전해야 한다는 반론이 남아 있기는 하다. 민속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1980년대 이후 향토축제의 소싸움은 우리 전통의 소싸움과는 다르다. 소싸움은 원래 마을에서 소를 먹이는 초동들이 산이나 들에서 몰고 간 소끼리 싸움을 시켜 소 먹일 풀을 빼앗는 놀잇거리였다. 20세기 초반에는 마을 대항의 소싸움도 존재했다. 인접한 마을에서 대표 소를 앞세워 응원전을 펼치며 벌인 싸움의 형태다. 마을 강가 백사장 소싸움이 있는 날은 풍물패도 오고 음식도 사고팔아서 많은 사람들이 모였다. 코뚜레와 고삐를 푼 소들은 서로를 탐색하다가 공격을 시작하고 한쪽이 싸움을 포기하고 달아나면 승자가 결정되었다. 소싸움에 참여하는 소는 마을에서 힘이 세다고 명성이 있는 소였을 뿐 별도로 싸움을 위해 키워지거나 훈련을 받지는 않았다. 농업 공동체에서 힘센 소는 마을의 명예나 위신을 대리하고 농업생산성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존재였다. 싸움에서 소가 다치는 것은 큰 손실이었으니, 바람직하지도 않았다. 현재의 소싸움은 이와는 다르다. 더 이상 소는 농업생산성의 상징이 아니다. 마을 전승의 소싸움은 이제 없다. 전문 소싸움꾼이 싸움을 위해 소를 구입하고, 혹독한 훈련과정을 거쳐 소를 경기에 내보낸다. 소싸움을 구경하는 주체들도 순박한 마을 사람들이 아니다. 소싸움은 마을의 명예가 아니라 물질적인 보상으로 마무리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내기와 투기가 벌어진다. 이 싸움에서 소는 철저히 오락용으로 도구화되며 전통적인 인간-소 관계에서도 벗어나 있다. 전통문화는 지역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그 의미가 변하고 사라지기도 한다. 변화하는 문화가 현재의 가치와 상징을 담는 것은 당연하다. 기존의 전통이 동물에게 비인도적인 행위를 포함했다면 그만둘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런 결정은 생명을 소중히 다루는 문화를 담는 좋은 전통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