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2년 전엔 공식 발표보다 빨리 '재입북' 알렸던 北... 조용한 이유는?

입력
2022.01.05 00:10
구독

2020년 7월 '개성 재입북' 땐 대대적 보도

2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군 초소에서 북한군 병사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파주=뉴스1

2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북한군 초소에서 북한군 병사들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파주=뉴스1

북한이 새해 첫날 발생한 북한이탈주민(탈북민) 재입북 사건에 계속 입을 다물고 있다. 2020년 유사 사건 당시 관영매체가 먼저 월북 소식을 발 빠르게 전했던 것과 대비되는 행보다. 올해 상반기 남측 대선 등 다양한 변수를 감안해 대외 정세를 관망하고 있는 북한이 남북관계를 자극할 우려가 큰 입북자 문제에 의도적으로 침묵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까지 관영매체와 대외선전매체 등 북한의 모든 언론은 입북자 A씨 사건 관련 보도를 전혀 내지 않고 있다. 북한이 체제선전의 최적 소재인 탈북민 입북 내용을 함구하고 있는 건 이례적이다. 남측이 입북자 신변보호를 요청하기 위해 군통신선으로 보낸 두 차례 통지문도 수신 사실만 확인했을 뿐 별다른 답변을 하지 않았다.

2020년 7월 ‘탈북민 개성 재입북’ 사건 때는 달랐다. 당시 탈북민 남성 한 명이 강화도를 통해 개성으로 들어간 것을 파악한 북한 당국은 공식 발표보다 빨리 언론을 통해 알렸다. 노동신문은 “개성시에서 악성비루스(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월남 도주자가 3년 만에 불법적으로 분계선을 넘어 귀향하는 비상사건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어 김정은 국무위원장 주재로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어 비상방역 체계를 최대비상체제로 격상하고, 경계에 실패한 군 부대를 문책한 사실도 공개했다.

북한의 ‘조용한 대응’은 노림수가 있다는 해석이 많다.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3월 남측 대선 등으로 한반도 정세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입북자 관련 메시지를 낼 경우 외교적 파장을 초래할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2020년 9월 ‘서해 해양수산부공무원 피살 사건’ 때처럼 섣부른 대응으로 김 위원장이 유감을 표하는 ‘곤란한 상황’을 되풀이하고 싶지 않은 속내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달 마무리된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대외분야는 ‘한 줄짜리’ 메시지로 갈음할 만큼 남북ㆍ북미관계 언급에 거리를 두고 있다. 정대진 한평정책연구소 평화센터장은 “북한은 적어도 남측 대선이 있는 3월까지 남북관계에 영향을 줄 새로운 이벤트가 달갑지 않을 것”이라며 “입북자를 앞세운 체제선전 등 사태를 키우는 게 득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렸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겉으론 침묵을 지키고 있지만, 내부 기강을 다잡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북한은 A씨의 월북 당일 신병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대대장급 지휘관과 간부들이 비무장지대(DMZ) 초소들을 방문해 철책을 점검한 정황이 우리 정보당국에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순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