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통합수능 부작용 신속 해소, 평가원보단 대학이 적임자”

입력
2022.12.07 16:00
수정
2022.12.09 16:30
24면
구독

편집자주

이훈성 논설위원이 노동ㆍ건강ㆍ복지ㆍ교육 등 주요한 사회 이슈의 이면을 심도 있게 취재해 그 쟁점을 분석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코너입니다. 주요 이슈의 주인공과 관련 인물로부터 취재한 이슈에 얽힌 뒷이야기도 소개합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1월 17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1월 17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초중등학교에선 이과 선호 심화, 대학에선 입시 불공정 논란과 재학생 중도탈락 급증. 올해로 시행 2년째인 문이과 통합수능에서 파생됐다고 지적받는 부작용들이다. 교육계에선 통합수능 표준점수 산정 방식과 대학의 교차지원 제도를 핵심 문제로 꼽으면서 개선을 주문하고 있다.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이 한데 묶인 수학·국어 영역의 표준점수 산출법은 통합수능 문제의 가장 직접적 요인이다. 같은 선택과목 응시자의 공통과목 평균점이 높으면 개별 응시자 성적도 따라 오르게 설계된 현행 산출 공식은, 고교 문이과가 성적순으로 서열화한 현실과 맞물려 이과형 과목 응시자에게 '보너스 점수'를 안기고 있다. 이로 인해 이과 선호 현상은 더욱 강화되는 악순환 구조다.

해법으로는 문이과 계열 간 형평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표준점수 산출식을 수정하는 방안이 우선 거론된다. 다만 수능 수행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현행 공식이야말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최소화한다는 입장이다. 통합수능 취지에 맞게 선택과목을 없애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는 통합수능의 근간인 2015 개정 교육과정 수립 직후 정부 자문 전문가 그룹이 우선적으로 내놓은 방안이기도 하다. 송주빈(경희대) 전국대학입학처장협의회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대학 진학 이전) 보통교육 단계에선 여러 학문을 해 보는 것이 중요한 만큼 수능을 문이과 통합 취지에 맞게 일원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만하다"고 말했다.

이과 수험생에게 유리한 대학 교차지원 제도 역시 통합수능 부작용의 핵심 요인이다. 전문가 사이에선 대학들이 교차지원 제도를 보완해 문이과 지원자 간 형평성을 높이는 게 가장 현실적 대안이라는 의견이 많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그간 교육당국이 선택과목 난이도 조정을 통해 계열 간 표준점수 격차를 줄이려 노력했지만 성과가 없었다"며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이과생의 인문사회계열 지원에 문턱을 두는 것 외엔 다른 길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고교 교육에서 실질적인 문이과 통합이 이뤄져야 통합수능의 순기능도 발휘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예컨대 대학 교차지원 제도만 해도 원래 융합적 인재를 육성하자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문이과로 나뉘어 편중된 교육을 받던 학생들이 계열을 바꿔 진학하다 보니 대학에서 기초수학, 글쓰기부터 다시 가르쳐야 하는 낭비가 발생한다. 조상식 동국대 교육학과 교수는 "입시제도에서 문이과 통합이 이뤄지려면 고교 교육과정에서 통합교육이 정착되는 게 선결 과제"라고 말했다.



이훈성 논설위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