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국산 소형 원자로, 캐나다에 먼저 지으려는 이유는?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8월 제이슨 케니 캐나다 앨버타주 주지사가 대전 유성구 한국원자력연구원에 찾아왔다. 원자력연이 개발한 소형 원자로 ‘스마트(SMART)’ 도입을 타진하기 위해서다. 2012년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스마트의 설계 안전성을 인정받았는데도 실증용 원자로를 지을 곳을 못 찾아 상용화 길이 막혔던 원자력연으로선 좋은 기회다. 임채영 원자력연 미래전략본부장은 “캐나다와 스마트 수출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앨버타주는 석유와 가스 매장량이 많다. 원자력연에 따르면 케니 주지사는 무탄소 열원으로 스마트를 지목했다. 스마트 가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자원 개발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게다가 현지 탄소세 때문에 화석연료 발전단가가 오름세라 온실가스가 안 나오는 열원과 전원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수출이 성사된다면 국산 소형 원자로 상용화의 발판이 될 것으로 원자력연은 전망하고 있다. 캐나다에서 스마트가 운영될 경우 국내 건설 수용성이 나아질 거란 기대도 나온다.
소형 원자로 상용화의 관건은 어디에 짓느냐다. 원자력계는 소형 원자로가 인구 이동이 많은 도시 근처에 지어도 될 만큼 대형 원전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돼 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시민들 눈엔 규모만 작아졌다뿐 원전은 원전이라 우려를 떨치기 어렵다. 해외에선 신규 부지를 정하는 대신 발전소 유휴 부지를 활용하기도 한다. 빌 게이츠가 소형 원자로를 짓겠다는 미국 와이오밍주 부지엔 노후화한 석탄화력 발전소가 있다. 가동이 중단돼 문을 닫는 발전소 부지 안에 소형 원자로를 지어 신규 부지 선정 부담을 덜면서 기존 송·배전 인프라도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정부는 냉각수에서 붕산 성분을 빼는 등의 신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업그레이드 버전인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 개발에 올해부터 2028년까지 6년간 3,992억 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10억 원, 산업통상자원부 1,237억 원, 민간 1,245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2030년대 세계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갖는 한국형 소형 원자로 모델을 내놓겠다는 목표다. 그러나 실증 없이는 연구 단계에서 머물러 있는 스마트의 전철을 밟을 수밖에 없다. 지난 10일 i-SMR 기술개발사업단장에 선임된 김한곤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장은 “기술을 개발해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는 것까지가 사업단의 역할”이라며 “i-SMR 개발은 일단 수출이 목적이고, 국내 실증은 향후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현 가능성이 불확실한 소형 원자로보다 당장 눈앞에 닥친 사용후핵연료 처분부터 해결하는 게 더 시급한 과제라는 시각도 있다. 박종운 동국대 원자력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어떤 소형 원자로도 실제로 지어보지 않고 서류에만 존재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며 “지금은 기존 원전의 안전한 운영과 사용후핵연료 문제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꼬집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