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악재 뒤덮인 중국 경제… 바짝 긴장하고 대비해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경제의 위기 징후가 예사롭지 않다. 부동산발 연쇄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가 금융으로까지 전이됐고,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은 일제히 악화일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한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중국에서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중국 경제를 지탱해온 부동산 상황은 헝다(恒大)의 디폴트 선언이 있었던 2년 전보다 심각하다. 디폴트 위기의 비구이위안(碧桂園)이 벌인 건설 프로젝트는 중국 전역에 3,000건이 넘는다. 헝다의 4배 이상이다. 국유 기업인 위안양(遠洋)까지 채무 상환에 실패했다. 중국 정부조차 여력이 많지 않다는 얘기다.
무엇보다 심각한 건 위기가 금융시장에까지 전이되는 점이다. 최대 부동산 자산신탁사인 중룽(中融)신탁은 부동산 투자 실패로 최대 6,000억 위안(약 110조 원) 지급 중단 위기다. 2008년 대형 금융사가 줄줄이 파산한 것도 부동산 부실이 금융에 옮겨붙은 데 따른 것이었다.
부동산 위기를 버텨줄 경제 체력도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그제 발표된 7월 소비와 생산 지표는 모두 시장 예상을 크게 밑돌았다. 앞서 발표된 소비자물가도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였다. 경기 침체 속에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공포가 확산될 수밖에 없다. 런민(人民)은행이 부랴부랴 정책금리를 소폭 낮췄지만 이 정도로는 쉽지 않아 보인다. 국가통계국이 매월 발표하던 청년실업률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불투명성에 따른 신용도 하락도 불가피하다.
경기 둔화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나라로선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올해 성장률이 25년 만에 일본에 역전될 것이 거의 확실하고, 내년에도 1%대 성장에 머물 거라는 암울한 전망까지 나오는 와중이다. 여전히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중국이 휘청이면 우리 경제는 맥없이 쓰러질 수 있다. 바짝 긴장해야 한다. 수출 다변화와 동시에 당장 금융과 실물경제에 미칠 파장을 최소화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모든 가능성을 다 열어놓고 대비해야 그나마 충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