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회전하며 오염 물질 없앤다...현대차·기아, 카메라 클리닝 기술 개발

입력
2023.09.06 19:30
구독

"기존 방식 한계 극복한 새로운 방식"

로테이터캠 작동 원리. 현대차·기아 제공

로테이터캠 작동 원리. 현대차·기아 제공


현대차·기아는 카메라 센서에 묻은 이물질을 자체적으로 제거하는 로테이터캠 기술을 최초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함께 자동차에 달린 센서의 역할이 중요해졌는데 카메라를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의 회전과 소형 와이퍼가 흙, 먼지, 빗방울 등 외부 오염을 제거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카메라 센서에 묻은 작은 이물질은 치명적 오류로 번질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는 카메라 센서 클리닝 기술은 센서 주변에 있는 노즐이 워셔액을 뿌려 이물질을 없애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비가 올 때 남아있는 워셔액이나 누적된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 방식도 와이퍼가 카메라 센서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회사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카메라 렌즈 덮개인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로테이터캠은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와 커버 글라스 하단부에 있는 워셔액 공급장치, 고정형 와이퍼 블레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 장치는 이미지 분석 인공지능(AI)이 오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워셔액 공급장치를 작동시키고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킨다. 겉면 유리가 돌아가면서 오염 물질은 소형 와이퍼에 걸러지고 다시 선명한 영상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레인 센서가 우천 상황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워셔액 분사 과정을 생략해 물방울이 번지는 현상도 최소화했다.

회사 측은 "로테이터캠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워셔 노즐이 일체형으로 설계돼 오염 제거 성능이 뛰어나고 워셔액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고 설명했다. 커버 글라스를 활용한 센서 클리닝 기술은 내부에 습기가 찬다는 문제가 있는데 로테이터캠은 커버 글라스가 회전할 때 내부 프로펠러 날개가 동시에 바람을 일으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로테이터캠이 상용화할 경우 레벨 4 이상의 완전 자율주행에 요구되는 센싱 고도화 기술을 뒷받침해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회사는 전망했다.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완료했고 내구성과 성능 테스트를 거친 뒤 양산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박지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