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행방불명 제주4·3 희생자, 74년 만에 대전 골령골서 찾았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4·3 당시 행방불명된 희생자가 대전 골령골에서 발굴된 유해의 유전자와 일치해 74년 만에 유족의 품으로 돌아가게 됐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대전 골령골 발굴 유해 4·3희생자 유전자 감식 시범 사업’을 통해 4·3 당시 행방불명된 고(故) 김한홍씨의 유해 신원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4·3 행방불명인의 유해가 제주도 이외 다른 지역에서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대전 골령골은 한국전쟁 발발 직후인 1950년 6월 28일부터 7월 17일까지 대전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재소자와 대전·충남 지역에서 좌익으로 몰린 민간인들이 군과 경찰에 의해 집단 학살돼 묻힌 곳이다. 올해 현재까지 1,441구의 유해가 발굴됐다.
이번에 신원이 확인된 행방불명 4·3희생자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지역인 대전 골령골에서 발굴된 1,441구의 유해 중 1차 시범사업으로 유전자 감식을 실시한 70구 중 1구다. 유해는 2021년 골령골 제1학살지 A구역에서 발굴·수습돼 현재 세종추모의집에 안치돼 있다.
이번에 신원이 확인된 고 김한홍씨는 제주시 조천면 북촌리 출신으로, 4·3 당시 토벌대와 무장대를 피해 마을에서 떨어진 밭에서 숨어지내다가 26살이던 1949년 1월 말 “군에 와서 자수하면 자유롭게 해주겠다”는 소문에 자수하고 주정공장수용소에 수용된 후 소식이 끊겼다고 유족들은 밝혔다. 수형인 명부에는 희생자가 1949년 7월 4일 징역 7년 형을 선고받고 대전형무소에서 복역한 사실이 등재돼 있다.
도는 다음 달 4일 유가족, 제주4·3희생자유족회, 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 행정안전부 관계자 등이 배석한 가운데 김씨의 유해 인계 절차를 거쳐 세종 은하수공원에서 유족회 주관으로 제례를 진행한 후 화장해 다음날 항공기를 통해 제주로 봉환할 예정이다. 희생자 유해를 고향으로 봉환하는 현장에서 유가족 및 오영훈 제주지사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직접 맞이하고, 이후 유해 봉환식을 한다. 이어 희생자를 위령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신원확인 보고회도 개최한다.
도는 현재까지 행방불명된 4·3희생자 유해 413구를 발굴했으며, 이 중 도내에서 141명의 신원을 확인했다. 이번 도외 지역 유해 1구의 신원이 확인됨에 따라 신원이 확인된 행방불명 4·3희생자는 총 142명으로 늘었다.
도와 4·3평화재단은 대전 골령골 발굴 유해에 대한 4·3희생자 유전자 감식 사업을 추가로 진행할 방침이다.
오영훈 제주지사는 "국회의원 시절부터 대전 골령골 발굴 유해에 대한 유전자 감식과 4·3유해 발굴, 유전자 감식사업과의 연계를 지속해 요구했는데, 이번에 도외 지역에서 행방불명된 4·3희생자 신원을 처음으로 확인하게 돼 무척 뜻깊다"고 밝혔다. 이어 “도내 유해 발굴과 신원 확인만 아니라 광주, 전주, 김천 등 도외 행방불명인 신원 확인을 위한 유전자 감식사업도 다른 지자체 등과 협업으로 더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