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쿠팡 와우 멤버십 요금 7,890원으로 올려...‘알테쉬’ 공격적 투자 의식했나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쿠팡이 유료 멤버십인 와우 회원의 요금을 월 4,990원에서 7,890원으로 58% 올린다. 2년 4개월 만의 인상으로 와우 회원의 할인 혜택이 늘어남에 따라 요금을 조정했다는 게 쿠팡의 입장이다.
그러나 속마음은 훨씬 복잡하다. 수익성이 낮은 상황에서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알리익스프레스(알리), 테무 등이 거대 자본을 앞세워 무섭게 세를 키우는 중이라 물류, 서비스에 투자하기 위한 총알을 확보해야 한다. 한편에선 업계 1위 쿠팡이 4·10 총선이 끝난 직후 요금을 인상하는 것을 두고 다른 업체들의 인상을 부추긴다는 눈총도 나온다.
12일 쿠팡에 따르면 회사는 13일부터 유료 멤버십에 새로 가입하는 회원에 한해 월 7,890원 요금을 적용한다. 기존 회원은 8월부터 순차적으로 오른 요금이 적용된다. 2019년 도입된 유료 멤버십은 2021년 12월 2,900원에서 4,990원으로 한 차례 가격이 올랐다.
인상 이유를 두고 쿠팡 측은 무료 배송, 무료 반품, 무제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청, 무료 음식 배달 등 혜택이 10개로 늘어나면서 적정 수준으로 가격을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한다. 요금을 감안하면 회원에게 제공되는 혜택은 여전히 크다는 것이다. 와우 회원 수백만 명은 무료 로켓배송(건당 3,000원), 무료 반품(건당 5,000원) 등으로 월평균 8만 원, 연평균 100만 원가량 할인을 받는다고 회사 측은 강조한다.
아울러 쿠팡 관계자는 "OTT 서비스만 따로 놓고 봐도 국내 주요 OTT 업체와 비교하면 요금이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쿠팡이 요금을 올려도 넷플릭스(1만3,500~1만7,000원), 티빙(9,500~1만7,000원), 디즈니플러스(9,900~1만3,900원) 등과 비교해 월 요금은 최대 반값 수준이다. 쿠팡은 올해 국가대표 축구 대표팀 김민재 선수 소속 팀 바이에른 뮌헨의 시리즈 경기 등 스포츠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늘릴 방침이다.
쿠팡은 지난해 첫 흑자 전환을 했지만 10년 동안 누적 적자가 6조 원에 달하고 영업이익률은 1.9%에 그쳐 수익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중국 이커머스의 막강한 투자력도 쿠팡에는 위협적 요소다. 알리의 모회사 알리바바그룹의 지난해 9월 기준 보유 현금은 855억9,500만 달러(약 100조 원)로 쿠팡(52억 달러·약 7조 원)의 10배 이상 많다. 테무는 중국에서 수조 원의 자금을 뿌려 미국 진출 1년 반 만인 1월 사용자 수(5,000만 명)가 미국 이커머스 1위 아마존(6,700만 명)을 바짝 따라잡았다.
그러나 쿠팡이 최근 물류망 확충에 3년 동안 3조 원을 쏟아붓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총선이 끝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요금을 올리는 것을 두고 불편한 시선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쿠팡은 와우 회원의 혜택을 늘려주겠다며 지난달부터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쿠팡이츠의 배달비를 무료로 운영하고 있는데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유료 멤버십 요금을 올리는 것은 모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에서는 이번 인상을 '쿠팡의 흑자 굳히기 전략'이라고 분석한다. 업계 관계자는 "첫 흑자를 낸 상황에서 수익 모델을 더 공고히 하기 위해서는 요금을 올리는 게 가장 빠른 방법이었을 것"이라며 "와우 회원의 쿠팡 의존도가 높아 이탈 현상이 없을 것이라는 자신감도 깔려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쿠팡의 인상으로 관련 업계의 멤버십 줄인상 우려도 나오지만 단기간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쿠팡은 OTT 등 쇼핑 이외 영역까지 서비스를 늘렸다는 이유로 요금을 올렸지만 다른 이커머스는 여전히 쇼핑 위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어 요금 인상의 명분이 부족하다는 게 업계의 진단이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