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30년간 냉장고 없이 산다... '작은 냉장고'로 바꾸는 사람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맛있는 인생, 멋있는 삶이 되길 바랍니다. 라이프스타일 담당 기자가 한 달에 한 번, 요즘의 맛과 멋을 찾아 전합니다.
"문을 열었는데, 검은 봉다리가 툭 하고 발 밑으로 떨어졌어요. 그 속에 들어 있던 게 조기든가 갈비든가."
윤호섭(81) 국민대 시각디자인학과 명예교수는 30년 전 냉장고 문을 열었던 그 순간을 잊을 수 없다. 당장 먹지 않을 음식으로 가득 찬 냉장고는 그에게 질문을 던졌다. "전 지구적으로 보면 굶는 애들이 있잖아요. 그런데 나는 냉장고에서 음식물이 쏟아진다? 크게 봐서 있을 수 없는 일이죠. 아무리 정치와 문화, 예술적으로 훌륭하고 이상적인 이야기를 한다 한들 그 집 냉장고에서 음식이 부패하고 있다면 진정한 지식인이 아니라고 봐요." 그는 얼마 뒤 냉장고를 없앴다.
윤 교수는 아내와 둘이 지금도 냉장고 없이 산다. 식탁은 자연스레 단출해졌다. 밥, 김, 김치, 젓갈 같은 염장 식품을 중심으로 상을 차린다. 선물로 생선, 고기 같은 게 들어오면 당장 먹을 것을 제외하고 이웃에 나눈다. 그는 수십 년 전부터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차를 없애는 등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생활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그렇다고 모든 가전 제품을 거부하는 건 아니다. 집에는 TV도, 에어컨도 있다. 그럼 왜 냉장고만 집에서 퇴출됐을까. 지난달 27일, 서울 강북구 우이동 작업실에서 만난 그는 질문을 받고 되물었다.
"다른 가전과 달리 냉장고는 24시간 돌아가요. 지금 바깥이 영하 10도예요. 그런데 원자력 발전소를 돌려서 전기 히터로 실내 공기 온도는 높이고, 냉장고 안은 일부러 온도를 낮춘 다음 거기에다 음식을 넣는다는 게 좀 이상하지 않아요?"
냉장고는 언제부턴가 필요를 의심하지 않는 가전이 됐다. 한국은 한술 더 떠, 김치 냉장고까지 필수품처럼 여긴다. 그뿐인가. '거거익선'이 상식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가전시장에서 가정용 냉장고의 표준은 900L다. 2L짜리 생수병이 450개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다. 이만한 크기의 냉장고가 집집마다 정말 필요한 걸까.
커지는 냉장고에 비판적인 사람들은 냉장고의 필요가 발명됐다고 주장한다. 런던과학박물관의 큐레이터 헬렌 피빗은 그의 책 '필요의 탄생'에서 사람들이 냉장고 없는 삶을 상상하기 힘들어진 이유는 가전제품과 식품회사들의 영리한 마케팅 전략이 주효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냉장고의 탄생으로 냉동식품이라는 수요가 생긴 게 대표적이다. 냉동 과일과 채소류, 아이스크림은 냉장 기술이 대중화되기 이전엔 존재하지 않았다. 빈 공간이 있으면 채우고 싶은 게 사람 심리. 냉장고의 대형화는 식료품의 대량 생산으로 이어졌다. 창고형 할인마트에서 대용량을 사와서 냉장고에 쟁이는 게 일상이 됐다.
피빗은 "냉장고의 등장으로 현대인의 음식 소비 습관, 식생활, 요리법이 과거와 비교해 몰라볼 정도로 달라졌다"며 "오늘날 냉장고는 계절에 따라 농사를 짓고 물고기를 잡던 인류의 유구한 습성을 1년 내내 먹을 것을 모으고 소비하는 습성으로 바꿔놓았다"고 말한다.
음식물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 개발된 냉장고가 음식물 낭비의 주범이 된 현실은 아이러니하다. 피빗이 책에 인용한 음식 칼럼니스트 로즈 프린스의 말은 이런 현상을 설명하기에 더없이 적절하다. "나는 이른바 '잘나가는 사람들처럼 먹기 증후군'에 빠져 있다. 장을 볼 때 우리 집에 필요해서가 아니라 우리 가족도 꼭 먹어보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무언가를 산다."
한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만 하루 평균 1만5,000톤이다. 기후위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냉장고의 필요성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도 점차 늘고 있다. 경기 성남시의 제로웨이스트 샵 '슬기로운 생활'을 운영하는 김예슬(36)씨는 지난해 11월, 기존 825L 크기 냉장고를 205L 용량 냉장고로 바꿨다. 그는 "큰 냉장고에 의존하면서 사는 게 정말 온전한 내 생각과 결정인지 돌아봤다"며 "(온전한 내 생각이 아니어서) 아예 없애려다 남편의 반대로 작은 냉장고로 바꿨다"고 했다.
냉장고 크기는 4분의 1로 줄었지만 불편함은 전혀 없다. 김씨는 "냉장고 안이 한눈에 들어와서 식재료를 빠르게 파악하고 요리하기 때문에 썩거나 유통기한이 지나 버려지는 재료가 없다"며 "뭐가 있는지 아니까 굳이 여러 차례 열어볼 필요도 없고, 냉장고 위까지 먼지 쌓일 새 없이 청소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라고 말했다.
울산에 거주하는 정다운(38)씨도 결혼 10년 차가 되던 지난해 1월, 기존 4도어 대형 냉장고를 344L 소형 냉장고로 과감히 교체했다. 4인 가구지만 충분하다. 정씨는 "예전에는 냉장고가 깊어 안에 뭐가 있는지도 몰랐다"며 "냉장고 크기는 줄었지만 수박과 케이크가 들어갈 정도로 공간이 남는다"고 했다. 그는 "요즘엔 일부러 부족한 만큼 장을 보고 눈에 보이는데 두고서는 가급적 바로 요리해서 먹으니까 더 신선하고 건강하게 먹는다"며 "식비와 전기료가 절감돼서 다시 사라고 해도 작은 냉장고를 선택할 것"이라고 추천했다.
냉장고를 바꾸지 않아도 '작은 냉장고' 효과를 볼 수 있는 법이 있다. 소방관이자 청소·정리 유튜버 '장끼남'으로 활동하는 김진선(34)씨는 한 달에 한 번은 꼭 냉장고를 정리한 뒤 냉장고 파먹기, 일명 '냉파'를 한다. 그는 "가급적이면 집 근처 중소형 마트를 이용하고 대형마트에 가더라도 카트 보다는 바구니를 이용하면서 추가 소비를 줄이려고 한다"며 "분기별로 냉장고 대청소를 하는 것도 불필요한 식재료 낭비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만능 저장고처럼 모든 음식을 냉장고에 넣고 보는 습관도 문제다. 류지현(44) 디자이너('사람의 부엌' '제로 웨이스트 키친' 저자)는 2010년부터 '냉장고로부터 음식을 구하자(Save Food from the Fridge)' 프로젝트를 하면서 "냉장고를 현명하게 쓰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는 "누구나 냉장고에서 썩어 문드러진 애호박을 발견한다거나 이미 색이 변한 가지가 있었던 경험이 있지 않느냐"며 "음식을 넣고 냉장고 문을 닫아버림으로써 버려지는 식재료가 너무 많다"고 말했다. 인도가 원산지인 가지만 해도 냉장 보관하면 냉해를 입는다. 사과, 귤 등 대부분의 과일은 냉장고에 보관할 필요가 없다. 그는 "각자가 자기 부엌의 식재료만이라도 잘 관리한다면, 냉장고에 들어갈 필요가 없는 식재료를 냉장고에서 꺼내 눈 앞에만 둬도, 음식물 쓰레기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