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트럼프 수석고문 "멕시코·캐나다·중국이 보복하면 관세 추가 인상"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한 가운데, 미 백악관은 이들 국가가 보복 관세로 응수할 경우 관세를 추가 인상할 수도 있다고 압박했다.
미국 CNN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무역 및 제조업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피터 나바로 무역·제조업 수석고문은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이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에 반발할 경우를 전제로 "미국이 관세를 더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는 10%), 중국에는 10%의 관세를 각각 매기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이날 서명했다. '타깃'이 된 세 국가의 반응은 심상치 않다. 멕시코 정부는 하루 전 관세 부과 예고에 "맞고만 있지 않겠다. 미국이 관세를 부과할 경우 동일한 규모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이 직접 "미국 소비자는 필수품의 가격 상승을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우리도 바로 강력히 맞대응할 것"이라며 강력 대응을 시사했다. 중국은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진 않았으나, 일주일 전 "관세 전쟁에서 승리는 없다. 중국은 국가 이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보복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미국도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멕시코·캐나다·중국은 미국의 3대 무역 상대국으로, 지난해 기준 미국 수입의 42%를 이들 3국이 차지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당시 미국이 중국에 10% 관세율을 책정하자(1차 미중 무역 전쟁), 중국은 곧바로 보복에 나섰고 미국 수출품 중 자동차와 콩, 위스키 등이 표적이 됐다. 관세 부과 정책으로 비싸지는 상품의 범위가 훨씬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CNN은 투자은행 BMO캐피탈의 더글러스 포터 수석 경제학자를 인용해 "보복이 무역 전쟁으로 확대되면 아무도 이기지 못한다"며 "역사와 연구, 경제학은 궁극적으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뉴욕연방준비은행 추산에 따르면 2018년 당시 관세 전쟁으로 인해 소비자가 연간 419달러(약 61만 원)를 추가 지불해야 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