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민간인 노상원에게 계엄 전날 '비화폰' 지급 의혹... 경호처, 답변 회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3 불법계엄 하루 전날 대통령경호처에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비화폰은 보안과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된 특수전화로, 군에서도 대령급 이상 지휘관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민간인' 신분인 노 전 사령관에게 제공했다는 것이다. 앞서 김건희 여사도 비화폰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윤 의원은 4일 국회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서 "여러 루트로 확인한 결과 경호처에서 노상원씨에게 직접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끝 번호가 9481인 번호가 노씨가 썼던 것으로 확인된다"는 윤 의원의 지적에 비화폰 관리 업무를 맡은 김대경 경호처 본부장은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는다)..."이라면서 말끝을 흐렸다.
그러자 윤 의원은 김 본부장을 향해 "기억나게 해드리겠다"며 "계엄 하루 전인 12월 2일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김모 비서관이 (경호처에) 와서 비화폰을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증거로는 경호처 불출대장에 적힌 '테스트(예)' 기록을 제시했는데, 윤 의원은 이 기록이 '예비역'인 노씨에게 비화폰이 지급된 기록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이 제시한 불출대장에는 '테스트(특)', '테스트(수)', '테스트(방)'도 함께 적혀있었는데, 각각 특수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방첩사령관에게 제공된 비화폰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김 차장이 계엄 관련 기록 은폐를 시도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윤 의원은 "김 차장이 지난해 12월 13일 금요일 김 본부장에게 지시를 했다. 자신(김 차장)이 내란과 결부된 게 들어와서 관련 (불출대장)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그 요구를 받은 적 있냐"고 물었지만, 김 본부장은 "관련 내용은 현재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이유로 답변을 피했다. 윤 의원은 불출대장 자료 제출이 어렵다면 기록 열람 후 진술이라도 해달라 설득했지만, 김 본부장은 "보안목적상 좀 말하기가 (어렵다)", "특별히 지금 여기서 말하기 어렵다"고 진술을 거부했다.
아직은 윤 의원의 주장에 불과한 단계이지만, 사실로 확인된다면 민간인에게 비화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만한 대목이다. 이미 지난달 22일 열린 1차 청문회에서도 노 전 사령관이 계엄 당시 비화폰을 사용했다는 진술이 나온 바 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당시 방정환 국방혁신기획관에게 "12월 3일 저녁 회의를 마치고 노씨가 쓰던 비화폰을 받아 장관실(김용현 전 국방장관 집무실)에 갖다준 적이 있냐"고 물었고, 방 기획관은 "네. 그 사항은 제가 수사기관에 진술한 바가 있다"고 사실을 인정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