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전 HID 부대장 "노상원, 우리 대북요원들 임무 마치면 제거 지시"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기획에 관여한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지난해 12월 24일 서울 서부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현역 시절 임무를 마친 우리 대북 요원들 제거 지시를 내렸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에 증인으로 출석한 박민우 육군 2군단 부군단장(준장)은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노 전 사령관 관련 일화를 공개했다. 박 준장은 정보사에서 여단장을 지낸 특수전 전문가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왜 노상원이 이렇게 상상 밖의 일을 저질렀다고 보는가"라고 질문하자 박 준장은 "제 경험 때문에 노 사령관이면 (계엄 수첩에 적힌 일들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고 답했다.
이어 "제가 2016년 속초 HID 부대장이었을 때 시나리오나 영화를 응용한 지시를 많이 내렸다"면서 "6개월 정도 중요한 대북 임무를 준비했는데, 당시 노 사령관은 임무가 끝나고 요원들을 제거하라고 지시했다"고 언급했다.
노 전 사령관이 지시한 구체적인 요원 제거 방법도 증언했다. 박 준장은 "제거 방법을 묻자 '원격 폭파 조끼를 입혀서 폭사시키라'는 지시를 했다"고 말했다. 요원들이 포획될 것 같으면 미리 제거하고, 작전에 성공해도 임무의 흔적을 없애기 위해 복귀 전 제거하라는 취지였다는 것이다.
당시 박 준장은 반대 의견을 표출하거나 이 같은 지시를 주변에 알리지 않았다고 했다. 부대장을 교체하고 요원 제거를 실행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고 부연했다. 박 준장은 "그 지시를 듣고 앞에서는 말을 안 했지만 속에서는 쌍욕이 나왔다"며 "노 사령관은 특수전 비전문가라 지시를 이행하지 않고 안전하게 복귀시키면 되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 사령관의 잔인한 면, 반인륜적인 면을 봤기에 계엄 수첩에 적힌 용어들이 낯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 준장은 지난해 8월 불거진 '정보사 사령관과 여단장 간 폭행 및 상관 모욕 법정 다툼'에서 여단장이었던 인물이다. 당시 사령관은 문상호 소장이었고, 박 준장은 이 사건 이후 정보사에서 직무배제돼 현 보직으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