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방미’ 최태원 “트럼프 행정부에 6개 시너지 분야 제안… 흥미 보였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21일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미국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2025 트랜스퍼시픽다이얼로그’(TPD) 행사장에서 취재진과 만나고 있다. 워싱턴 특파원 공동취재단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자격으로 민간 경제사절단을 꾸려 미국을 찾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방미 성과를 낙관했다. 조선 등 6개 분야의 한미 협력 방안을 제시했고,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열린 ‘2025 트랜스퍼시픽다이얼로그’(TPD) 행사에 참석해 취재진과 만나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첫 번째 접촉이다. 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듣고 소통을 시작하고 가능하면 그들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할 계획이었다”며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26명 규모의 ‘대한상의 대미 통상 아웃리치(대외 소통·접촉)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으로 건너가 19, 20일 백악관·재무부 고위 당국자와 연방의원, 주지사 등을 만났다. 사절단은 21일 취임 선서식을 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도 40여 분간 면담하며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 등을 강조했다.
협력을 제안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인공지능(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6개다. 최 회장은 “시너지가 날 수 있는, 같이해서 서로 좋은 얘기가 있을 수 있는 것을 준비해 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대미 투자 계획과 관련해서는 “필요한 투자는 하는 게 비즈니스인 만큼 검토는 계속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생산 시설을 원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계속 (미국이)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하는데 아직은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또 “인센티브가 꼭 돈만 갖고 따지는 게 아니다. 여러 종류의 인센티브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는 단순히 상품 수출만으로 계속 먹고 살 수 없다. 같이 활동해서 서로 시너지를 얻는 빅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해야 대한민국도 지금 같은 트렌드 파도에 잘 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조 바이든 정부에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과학법(칩스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방미 기간 만난 미국) 정계 인사 한 분이 ‘그것은 계속 집행이 잘 될 것’이라고 했다. 자기들의 실리를 따진 셈”이라며 “무조건 ‘준다, 안 준다’ 이렇게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손지애(왼쪽부터) 이화여대 교수(사회), 커트 캠벨 전 미국 국무부 부장관, 사사에 겐이치로 전 주미국 일본대사,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이 21일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2025 트랜스퍼시픽다이얼로그’(TPD)가 열린 미 워싱턴 한 호텔에서 좌담을 하고 있다. 워싱턴 특파원 공동취재단
TPD는 한국·미국·일본의 전현직 고위 관료, 석학, 싱크탱크·재계 인사들이 동북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경제·안보 현안을 논의하는 연례 행사다. 최 회장은 21일 개회사 및 22일 AI 관련 특별 연설에서 “AI와 에너지 분야의 한미일 3국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전제한 뒤, 특히 협력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하는 분야로 제조 AI를 꼽았다고 SK그룹이 밝혔다.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은 TPD 좌담회에서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에 매우 뛰어나고, 세계 최고 품질의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생산하는 SK하이닉스가 있다. 미국은 AI 모델을 만드는 데 매우 창의적이고 일본은 컴퓨터 반도체 디자인을 촉진하는 데 관심이 많다”며 한미일 간 과학 외교를 추진할 것을 3국 정부에 제안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