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연간 200만 명 온다더니… 춘천 레고랜드 1원도 못 벌었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춘천 하중도에 들어선 레고랜드 리조트. 강원도는 레고랜드를 비롯한 하중도 개발을 맡은 특수목적법인인 강원중도개발공사(GJC)를 강원개발공사에 합병하는 대안을 검토 중이다. 연합뉴스
수천억 원의 혈세가 들어간 강원 춘천시 레고랜드 테마파크의 효과가 기대 이하라는 주장이 나왔다. 더구나 강원도는 테마파크가 개장 3년이 넘도록 단 1원의 수익도 거둬들이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10년 넘게 강원도가 띄운 장밋빛 청사진은 사라지고 파산 위기에 몰린 시행사의 '빚잔치'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4일 윤민섭 춘천시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레고랜드 입장객 수는 49만 4,618명으로 집계됐다. 윤 의원은 "입장객이 2023년 보다 13만 8,253명이 줄었고, 감소율은 21.8%로 춘천시내 주요 관광지 중 가장 컸다"고 분석했다. 이는 연간 200만 명 이상 방문해 6,000억 원이 넘는 경제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란 강원도의 기대치를 크게 밑돈 것이다.
강원도와 시행사인 중도개발공사(GJC)는 도유지인 중도 테마파크 부지(28만790㎡)를 50년 동안 공짜로 빌려주고 기반시설 조성 등 7,300여억 원을 레고랜드에 지원했다. 재정여건이 넉넉지 않음에도 투자를 결심한 강원도는 중도에 세계적인 관광시설이 들어서면 관광객 증가, 글로벌 이미지 제고 등 유무형 효과를 강조했다. 그럼에도 춘천에 관광객이 몰려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낙수효과'를 보고 있다는 얘기는 여전히 들리지 않는다. 불평등 계약과 무리한 투자에 따른 책임론이 나오는 이유다.
뿐만 아니라 레고랜드가 영업에 들어간 지난 2022년 5월 5일 이후 강원도가 대주주로 참여한GJC가 거둔 수익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금난에 시달린 GJC가 토지소유권과 지적정리가 이뤄지지 않은 가운데 분양한 토지가 계약해지 분쟁에 휘말려 수익은커녕 되레 위약금을 물 처지가 됐다"는 게 강원도의 얘기다.
여기에 레고랜드 테마파크도 3년 넘게 '임시 사용승인' 상태다. 토지 소유권 문제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은 탓이다. 서류상 완전 준공이 아니면 영국 멀린사와의 협약에 따른 임대료를 받을 수 없다. 이 협약에선 관련 매출이 연간 400억 원 이하면 임대료 수익을 받을 수 없다. 연간 매출액이 400억 원 초과 600억 원 이하일 경우 1억 2,000만 원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GJC와 강원개발공사 통합을 통해 소유권 정리와 토지 분양 등 사업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