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멕·캐·중 관세 폭탄'에 정부도 긴장감 높인다..."트럼프 입만 볼 수는 없다"

입력
2025.02.03 17:30
수정
2025.02.03 17:47
1면
구독

산업부 통상교섭본부, 부내 TF 회의 개최
멕시코, 캐나다, 중국 대상 관세 조치 점검
통상·에너지 행정명령 영향·대응 방향 검토
한국 대상 명령 아직 前... 긴장감은 유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에게 말하고 있다. 메릴랜드=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기자들에게 말하고 있다. 메릴랜드=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하면서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는 모양새다. 한국은 아직 직접 대상에 들지는 않았지만 혹시나 모를 가능성에 대응 방안 검토 회의를 열고 상황을 면밀하게 살피는 등 긴장감을 유지하고 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3일 부내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었다. 이 TF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꾸려진 것으로 수시로 필요에 따라 열리고 있다는 게 산업부 측 설명인데,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본격화된 이후로는 처음이다. 이날 회의는 △멕시코·캐나다·중국 대상 관세 조치의 내용과 영향 점검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통상·에너지 관련 행정 조치 영향과 대응 방향을 검토하기 위해 열렸다.

정 본부장은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라 각종 행정 조치를 빠르게 발표하고 있으며 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정부와 민간이 역량을 모아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행정 조치에 대해 부내 모든 가용 수단을 동원해 시나리오별로 대비하라"고 주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1월 취임과 동시에 '미국 에너지의 해방' 행정 명령과 '미국 우선주의 통상 정책' 각서에 사인했고 1일(현지시간)에는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와 중국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월 24일(현지 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비공식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월 24일(현지 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무역기구(WTO) 비공식 통상장관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아직 한국을 직접 대상으로 한 행정 명령은 없었지만 멕시코·캐나다·중국 등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이 있어 영향권에 들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예상이다. 또 앞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입에서 어떤 명령이 쏟아져 나올지도 알 수 없다.

통상 주무 부처인 상무부와 미국무역대표부(USTR) 수장 인준이 마무리되면 안덕근 산업부 장관이나 정 본부장 등이 대(對)미 아웃리치(대외협력) 활동도 강화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당시 정부는 장성길 산업부 통상정책국장과 현지 파견 상무관 3인, 사무관 등으로 대표단을 꾸려 워싱턴DC에서 꾸려 일주일 동안 운영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상무부, USTR의 국장급 실무진과 싱크탱크 전직 인사 등을 두루 만나고 왔다"면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공관, 특히 상무관들을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통상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도 꾸준히 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지혜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