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트럼프발 '관세 전쟁' 현실화에... 유럽, 긴장 속 "단호히 대응"

입력
2025.02.03 18:37
수정
2025.02.03 18:48
구독

'유럽 관세' 질문에 트럼프 "계획 있다" "곧 부과"
'관세 전쟁' 가시화에 유럽서 쏟아진 우려·경고
'공동 대응' '서비스 분야 보복' 등 EU 대응책 거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실루엣 뒤로 유럽연합기가 보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실루엣 뒤로 유럽연합기가 보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멕시코·중국을 상대로 방아쇠를 당긴 '관세 전쟁'에 유럽의 긴장감도 커지고 있다. 대서양 건너편 유럽을 향해서도 "관세 부과 실행 계획이 있다" "곧 관세를 부과할 것" 등 발언을 연일 쏟아내고 있어서다. EU는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맞불 방침을 내비치면서도, 관세 전쟁을 방지하거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는 데 골몰하는 모습이다.

"부당 관세, 단호히 대응"... EU, '강경 모드'로

2일(현지시간) 미국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EU 행정부 격인 집행위원회의 대변인은 "현재까지 EU에 대한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여부를 인지하고 있지 않다"면서도 "EU 상품에 부당하게, 자의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모든 무역 파트너에 대해선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 중국에 10%의 보편 관세를 4일부터 부과하기로 정한 데 대해서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이날 EU 반응은 지난해 미국 대선 국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대(對)유럽 보편 관세 추가'를 예고했을 때와는 사뭇 다르다. 당시 EU는 '최대한 협력하자'며 그를 달랬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이튿날인 지난달 21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도 세계경제포럼 연설에서 미국·유럽의 거래 규모(1조5,000억 유로·약 2,250조 원)를 강조하며 '상호 협력하자'는 취지의 메시지를 냈다.

유럽의 태도가 '강경 모드'로 바뀐 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공격'이 가시화했기 때문이다. 그는 지난달 31일 "(무역에서) EU는 우리를 매우 끔찍하게 대했다. 실질적 조처를 하는 것에 대한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2일에도 "(EU 겨냥 관세 부과 시점과 관련한) 시간표가 있다고 말하진 않겠지만,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EU에 따르면 2023년 기준 EU는 미국에서 3,400억 유로(약 510조 원)어치 상품을 수입했다. 수출액은 5,020억 유로(약 753조 원)에 달해 1,720억 유로(약 243조 원) 흑자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과 우호·협력 관계인 EU에도 관세를 부과하려 하는 이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주먹을 들어 올려 인사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주먹을 들어 올려 인사하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유럽 경제 치명상 우려... 대응책 마련 '분주'

추가 관세는 유럽 경제에 치명타를 가할 수 있다. 취임 전후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를 언급한 분야만 반도체, 철강, 의약품, 자동차 등에 이른다. 클라스 노트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은 2일 "(트럼프의) 새로운 관세는 미국 내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을 야기하고, 이는 유로화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인 2018년에도 '국가 안보 위협'을 명분 삼아 수입산 철강·알루미늄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전례가 있다.

유럽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막무가내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와 함께, '보복 수단'도 강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진다. 카를로스 쿠에르포 스페인 경제부 장관은 "EU가 순진해선 안 된다"고 했고, 마크 페라치 프랑스 산업부 장관도 "협상에서 미국에 위협을 가하려면 미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만한 수단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EU의 보복 수단이 없는 것도 아니다. 대표적으로 '통상위협대응조치(ACI)' 발동이 거론된다. 이는 EU 회원국 또는 EU에 대한 경제적 압력에 맞서 공동 대응을 하도록 하는 법적 틀이다. 'EU 전체 인구의 최소 65%에 해당하는 EU 회원국 55%(27개국 중 15개국 이상)'가 찬성하면 ACI가 발동된다. 미국이 서비스 부문에선 유럽을 상대로 흑자(2023년 기준 1,040억 유로·약 156조 원)를 내는 만큼, 보복 관세를 △투자 은행 △컨설팅 △회계 등 서비스 부문에 부과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베를린= 신은별 특파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