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민간인 노상원에게 계엄 전날 '비화폰' 지급 의혹... 경호처, 답변 회피

입력
2025.02.04 14:40
수정
2025.02.04 18:04
구독

국정상황실장 출신 윤건영 민주당 의원
"계엄 전날 김성훈 경호차장 지시로 전달"
비화폰 불출대장 기록 은폐 시도 의혹도

김대경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비화폰 관리와 관련한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경 대통령경호처 지원본부장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비화폰 관리와 관련한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2·3 불법계엄 하루 전날 대통령경호처에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비화폰'을 지급했다는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비화폰은 보안과 기밀성을 강화하기 위해 암호화된 특수전화로, 군에서도 대령급 이상 지휘관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민간인' 신분인 노 전 사령관에게 제공했다는 것이다. 앞서 김건희 여사도 비화폰을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윤 의원은 4일 국회 내란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서 "여러 루트로 확인한 결과 경호처에서 노상원씨에게 직접 비화폰을 제공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끝 번호가 9481인 번호가 노씨가 썼던 것으로 확인된다"는 윤 의원의 지적에 비화폰 관리 업무를 맡은 김대경 경호처 본부장은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는다)..."이라면서 말끝을 흐렸다.

그러자 윤 의원은 김 본부장을 향해 "기억나게 해드리겠다"며 "계엄 하루 전인 12월 2일 김성훈 경호처 차장의 김모 비서관이 (경호처에) 와서 비화폰을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증거로는 경호처 불출대장에 적힌 '테스트(예)' 기록을 제시했는데, 윤 의원은 이 기록이 '예비역'인 노씨에게 비화폰이 지급된 기록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윤 의원이 제시한 불출대장에는 '테스트(특)', '테스트(수)', '테스트(방)'도 함께 적혀있었는데, 각각 특수전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방첩사령관에게 제공된 비화폰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김 차장이 계엄 관련 기록 은폐를 시도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윤 의원은 "김 차장이 지난해 12월 13일 금요일 김 본부장에게 지시를 했다. 자신(김 차장)이 내란과 결부된 게 들어와서 관련 (불출대장) 기록을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그 요구를 받은 적 있냐"고 물었지만, 김 본부장은 "관련 내용은 현재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이유로 답변을 피했다. 윤 의원은 불출대장 자료 제출이 어렵다면 기록 열람 후 진술이라도 해달라 설득했지만, 김 본부장은 "보안목적상 좀 말하기가 (어렵다)", "특별히 지금 여기서 말하기 어렵다"고 진술을 거부했다.

아직은 윤 의원의 주장에 불과한 단계이지만, 사실로 확인된다면 민간인에게 비화폰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만한 대목이다. 이미 지난달 22일 열린 1차 청문회에서도 노 전 사령관이 계엄 당시 비화폰을 사용했다는 진술이 나온 바 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당시 방정환 국방혁신기획관에게 "12월 3일 저녁 회의를 마치고 노씨가 쓰던 비화폰을 받아 장관실(김용현 전 국방장관 집무실)에 갖다준 적이 있냐"고 물었고, 방 기획관은 "네. 그 사항은 제가 수사기관에 진술한 바가 있다"고 사실을 인정했다.

우태경 기자
임주영 인턴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