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사람 여성', 유전학적으로는 사람의 기본 모델

입력
2025.02.06 04:30
25면

편집자주

알아두면 쓸모있을 유전자 이야기. 바이오 산업의 새로운 혁신과 도약으로 머지않아 펼쳐질 미래 유전자 기반 헬스케어 전성시대를 앞서가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 동향에 대한 소개와 관련 지식을 해설한다.



구약성경 구절의 과학적 해석
동물의 다양한 성별 결정방식
갈비뼈 이용한 줄기세포 치료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구약성경에 최초의 남성인 아담의 갈비뼈를 이용해서 최초 여성 이브가 탄생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어서일까. 남성 갈비뼈 개수가 여성보다 1개 적다고 혼동하는 사람도 가끔 있다. 물론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남녀 모두 갈비뼈 개수는 12쌍 즉 24개씩으로 같다.

성경 이야기가 어떤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는지 여러 해석이 있는 것 같고 그중 어떤 학자들은 갈비뼈라고 해석되는 단어에 외형이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그런 맥락에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래픽=강준구그래픽=강준구

그래픽=강준구그래픽=강준구

생물학적으로 남자 사람과 여자 사람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염색체에 의해서 결정된다. 사람의 경우 세포 안에 염색체 Y가 존재하면 XY인 남성이 되고, 그렇지 않고 염색체 X만 있으면 XX인 여성이 된다. 또 XX인 모든 여자 사람들이 증명하고 있듯 염색체 Y는 사람 생존에 꼭 필요한 염색체 즉 유전 정보가 아니다. 이 말은 원래 사람은 여성으로 발달하는 게 기본 설정인데 염색체 Y가 추가로 존재하면 설정이 바뀌어 남성으로 발달한다는 의미일 수 있다. 남성에게서 뭔가를 빼서 여성이 되는 게 아니라, 여성에게 뭔가를 더해서 남성이 된다고 보는 게 맞을 것이다.

물론 이런 성별 결정 방식은 포유류 동물에 적용되는 방식이다. 어류와 파충류를 포함한 다른 동물들에선 세포 안에 염색체 W가 존재하면 ZW인 암컷이 되고 염색체 Z만 있으면 ZZ인 수컷이 되는 방식을 따르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수컷에게서 뭔가를 빼서 암컷이 되는 게 아니라, 수컷에게 뭔가를 더해서 암컷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의 경우 여성에게 뭔가를 더해서 남성이 된다는 건, 남성에게서 뭔가를 빼면 여성이 된다는 것과 일맥 상통할 수 있으므로 남성에서 갈비뼈 하나를 빼는 논리와 연결시켜 볼 수도 있기는 하다. 실제로 생쥐 수컷 줄기세포에서 염색체 Y를 제거하면 암컷 줄기세포로 만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염색체 Y에 있는 유전자들을 편집해서 마치 염색체 Y가 없는 것처럼 만들어 암컷 없이 수컷 두 마리에서 얻은 세포들만으로 새끼 생쥐를 만들고 성체로 발달시킨 실험도 성공한 바 있다. 물론 이 모든 상황은 수컷에서 뭔가를 빼고 남은 세포로 암컷을 만드는 것일 뿐이지, 뭔가를 빼내서 그것으로 암컷을 만드는 게 아니므로 아담과 이브 이야기와는 다른 것이다.

성경 속 이야기를 과학적 관점에서 해석해야만 한다면 아마도 갈비뼈를 성체 줄기세포 특히 유도 만능 줄기세포와 관련된 내용으로 접근해 볼 수는 있다.

유도 만능 줄기세포는 체세포에서 유래한 만능 줄기세포의 한 종류를 의미하는데, 만능 줄기세포는 무한정 분열하면서 태반을 제외한 모든 기관, 조직으로 분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고나 질병으로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유도 만능 줄기세포는 성체의 체세포 조직에서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배아가 필요하지 않으며, 환자 맞춤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이 면역 거부반응이 없는 그들만의 만능 줄기세포주를 가질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재생 의학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기도 하다.

현재 갈비뼈 연골에서 성체 줄기세포를 뽑아 무릎 연골 치료에 활용하는 기술은 실용화되어 있고,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활용하는 기술 또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성경에 있는 '바다의 풍부한 것과 모래에 감추어진 보배'라는 문구와 '발이 기름에 잠길지로다'라는 문구를 기반으로 탐사에 나섰더니, 이스라엘 지역에서 석유와 천연가스를 발견했다는 사례도 있다. 갈비뼈에서 유도 만능 줄기세포와 관련한 놀라운 발견이 나와서 인류 건강에 획기적 도움을 줄 날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이환석 한림대 의료·바이오융합연구원 R&D 기획실장·교수
대체텍스트
이환석한림대 의료·바이오융합연구원 R&D 기획실장·교수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