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희망퇴직 신청자 적으면… "트럼프 2기 연방정부, 대규모 해고 가능성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 후 합동 기자회견을 하면서 질문할 기자를 가리키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약 40년 만에 연방정부 공무원을 대량 해고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대선 후보 시절부터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내세운 트럼프가 취임한 뒤 미국 연방정부는 공무원들을 상대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는데, 감원 목표보다 희망자 수가 적을 경우엔 신청 기한이 끝나자마자 강제 해고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다. 심지어 미국 중앙정보국(CIA)마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조기 퇴직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4일(현지시간) "희망퇴직 신청자가 적을 경우 연방정부 대규모 해고 사태로 이어질 것 같다는 정부효율부(DOGE) 고위 관리의 이메일을 입수했다"고 보도했다. 미 CNN방송도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희망퇴직 마감 시한인 6일 이후 곧바로 해고가 시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20일 취임하자마자 비대해진 연방정부를 줄이겠다며 각 기관 인력 감축에 나섰다. 지난달 28일 모든 연방정부 공무원들에게 이메일로 희망퇴직 신청을 안내했다. 희망퇴직을 신청하면 즉시 사직하되, 올해 9월까지는 급여를 지급하는 조건이다. 연방공무원은 230만명가량인데, 전체 직원의 2~5%(4만6,000명~11만5,00명)를 줄인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 계획이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관인 CIA에도 '칼바람'이 불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CIA 역시 '연방정부 축소' 방침에 맞춰 전 직원에게 '8개월간 급여 및 추가 혜택을 제공하겠다'며 조기 퇴직을 제안했다. 이미 합격을 통보한 구직자들의 채용도 동결했다. CIA 대변인은 "조직에 새로운 에너지를 불어넣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로고. AP 연합뉴스
하지만 신청자 수는 목표치에 턱없이 못 미친다. 지난달 31일 인사관리처(OPM)는 "2만 명 이상이 희망퇴직을 신청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최소 목표인 4만6,000명의 절반보다도 적다. 9월까지 급여를 지급한다는 정부 정책에 의구심을 품는 직원도 적지 않다. 현재 연방정부 예산은 3월 중순까지만 확보돼 있다. 이후 예산안이 의회에서 통과되지 않아 정부 폐쇄(셧다운)에 이를 경우, 약속된 급여를 받을 수 없다는 불안감이 있다.
상황이 이렇자 연방 기관장들도 직원들에게 '곧 대규모 해고가 있을 것'이라는 엄포를 가하고 있다. 국립과학재단(NSF)의 한 직원은 WP에 "지도부 인사들이 4일 '수개월 내에 대규모 해고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며 "희망퇴직을 강요하진 않았으나, 그런 선택(해고)도 있다는 것을 언급했다"고 말했다. WP는 "OPM 역시 직원 수를 7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연방조달청(GSA)은 직원 절반 감축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 공무원 해고'를 강행하면, 이는 30년 만의 일이 된다. 가장 최근에 연방정부가 공무원을 대거 해고했던 건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시절이다. 당시 총무청 직원 800명이 해고되거나 다른 직무로 변경됐다. 매우 드문 경우인 연방정부의 해고는 보통 △기관 개편 △예산 부족 △업무 민간 위탁 시 가능하다.
공무원 노조의 반발은 불가피하다. 미 연방공무원 노조는 4일 매사추세츠 연방지법에 "노동자들이 불법적이고 임의적인 최후통첩을 받았다"며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중단시켜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