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경제를 아는 사람이 대선에 나온다면…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2007년 조지 W 부시(오른쪽 두 번째) 미국 대통령이 벤 버냉키(맨 오른쪽) Fed 의장 등과 금융정책을 협의하고 있다.
독자들의 성원 속에 본보에 연재됐던 '뉴스에 안 나오는 美 대선 이야기'에 따르면 1980년대 미국 수도 워싱턴에는 3명의 최고 권력자가 있었다(1월 22일 자·22회). 미국 시민이 뽑은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세상을 뒤흔든 특종으로 영향력을 얻은 언론 권력자(워싱턴포스트 캐서린 그레이엄 회장), 그리고 경제 대통령으로 불렸던 연방준비제도(Fed) 폴 볼커 의장이었다.
□ 볼커 이후에도 앨런 그린스펀, 벤 버냉키, 재닛 옐런과 제롬 파월(현직) 등 역대 의장은 제도와 관행에 의해 보장된 Fed의 독립성을 무기로 ‘글로벌 달러 패권’을 관리하는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Fed 의장이 금리 결정권을 어떻게 행사하느냐에 따라 미 대선 향방이 바뀌기도 했다. 1992년 재선에 나선 ‘아버지 부시’ 대통령이 경기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금리 인하를 기대했지만, 그린스펀 의장이 호응하지 않으면서 클린턴에게 패배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 블룸버그 출신의 칼럼니스트 윌리엄 페섹도 한국에서 경제 대통령의 위상을 간파한 걸까. 계엄 사태 이후 한국의 방향을 모색하는 칼럼(한국일보 12월 21일 자)에서 흥미로운 분석을 내놨다. 느닷없는 계엄령으로 한국 경제가 10년간 부정적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할 수 있다고 우려하면서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에게 후한 점수를 줬다. “주목할 건 계엄 사태 직후, 한국은행의 발 빠른 대응이다. 이 총재와 그의 참모들은 시장 심리와 환율 안정을 위해 ‘무제한 유동성’과 ‘다양한 다른 조치’를 신속하게 내놨다. 한은이 금융시장 안정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능력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 페섹의 평가 때문일까. 야권에서도 조기 대선이 현실화하면, 이 총재가 여당 주자로 나설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감지된다. ‘정치할 생각이 없다’는 게 이 총재의 공식 입장이지만, 18일에도 민주당의 ‘전 국민 25만원 소비쿠폰’에 반대한 것이 경제부총리 출신 김동연 경기지사의 비슷한 입장과 맞물리면서 새삼 주목받고 있다. 어차피 대선이 치러진다면, 전문성을 갖춘 새 인물들이 정치인 출신 식상한 후보와 경쟁하는 상황도 나빠 보이지는 않는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