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누워도 숨이 차다면 판막 질환 의심···고령 환자도 수술 가능해”

입력
2025.01.21 04:30
20면
구독

승모판막 기능 못해 혈액 역류
금방 숨이 차고 심장 기능도 약화
다리의 정맥 통한 시술로 부담↓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에서 만난 박성지 판막질환센터장이 판막 질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에서 만난 박성지 판막질환센터장이 판막 질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심장 판막 질환도 늘고 있어요. 조금만 움직여도, 누워 있어도 숨이 찬다면 판막에 이상이 있는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심장의 판막에 이상이 생기면 숨 쉬는 게 점점 불편해진다. 처음엔 오르막길을 오를 때 숨이 찼으나, 병이 진행되면 계단 한 개만 올라도 숨이 차게 된다. 누워서 쉬려고 하면 더욱 숨이 차 밤에 제대로 잠들지 못하는 경우도 다반사다. 심장도 점점 커져 나중엔 심장 기능마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숨이 차는 것을 노화에 따른 증상으로 여겨 간과하는 경우도 많다.

이달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에서 만난 박성지 판막질환센터장(순환기내과 교수)은 이렇게 말했다. “판막 질환 중 하나인 승모판막 역류증의 대표 증상이 바로 숨이 차는 겁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겪게 되는 현상이라고 생각해 진단을 늦게 받고, 수술 시기마저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

판막은 심장 내 혈액이 거꾸로 흐르지 않도록 일종의 미닫이 문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심장 안에는 네 개의 판막(승모판막‧대동맥판막‧삼첨판막‧폐동맥판막)이 있다.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승모판막을 포함해 이들은 혈액순환 과정에서 여닫힘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그러다 노화로 판막이 딱딱해지는 등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생기면 그때부터 문제가 시작된다.

승모판막 역류증은 좌심실이 수축하면서 대동맥을 타고 온몸순환(체순환)을 시작해야 할 혈액의 일부가 역류해 좌심방으로 다시 흘러드는 증상을 말한다. 박 센터장은 “승모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은 탓”이라며 설명을 이어갔다. “역류된 혈액은 폐로 퍼져나가 폐가 붓고 물이 차는 문제가 발생해요. 그리고 좌심실을 통해서 혈액 100이 몸으로 나가야 하는데 그중 40이 역류해 좌심방으로 다시 들어온다고 하면 우리 몸을 순환하며 산소‧영양분을 전달하는 혈액은 60으로 줄게 됩니다. 기력이 없어지고 혈압도 낮아지고,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숨이 금방 차게 되는 거죠.” 좌심방으로 흘러드는 혈액이 많아지면서 심장이 2~3배 커지고, 나중엔 심장 기능마저 약화한다.

박 센터장은 이어 “나이가 들수록 판막 질환을 앓게 될 가능성이 높고, 판막 질환마다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고령층이라면 늘 유의 깊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화로 주로 문제가 되는 판막은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 삼천판막이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있는 대동맥판막에 석회가 쌓여 혈액이 심장에서 나가는 길이 좁아지는 것으로 가슴 통증과 어지럼증이 대표 증상이다. 갑자기 의식을 잃는 경우도 있다. 삼천판막에 이상이 생기면 다리가 붓고 소화가 되지 않는다.

경증의 승모판막 역류증은 약물로 우선 치료한다. 박 센터장은 “이뇨제 성분이 담긴 약물을 통해 좌심방으로 역류되거나, 폐로 흘러드는 혈액의 양을 줄이는 게 약물 치료의 목표”라며 “약물 치료 이후에도 증상이 악화하면 수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수술은 가슴을 열어 본인의 판막을 교정하는 판막성형술, 기존 판막을 인공 판막으로 교체하는 판막 치환술이 쓰인다.

다만 고령 환자의 경우 전신마취 등이 부담될 수 있기 때문에 2020년부터 경피적 승모판막 성형술(TEER)이 도입됐다. 그는 “제대로 닫히지 않는 승모판막의 양쪽을 V자 모양의 클립으로 붙잡아서 판막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이라며 “가슴을 열지 않고 다리 정맥을 통해 클립을 전달하기 때문에 수술 부담이 적다”고 말했다.

이미 수술을 받은 승모판막이 다시 망가진 경우엔 경피적 승모판막 재치환술(TMVR)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금속으로 만든 인공판막은 25년, 돼지 조직으로 만든 것은 10~20년 사용을 합니다.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는 보통 돼지 조직으로 만든 판막으로 수술을 하는데, 평균 수명이 길어지다 보니 인공 판막이 제 기능을 못하게 돼 바꿔 줘야 하는 환자가 많이 늘고 있어요. 판막 수술을 받았을 때보다 더욱 나이가 들었기 때문에 수술 부담을 줄이는 게 관건이죠.”

TMVR은 기존에 수술로 삽입한 인공 승모판막에 새로운 판막을 덧대는 것으로, 2023년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다. TEER과 마찬가지로 다리에 있는 정맥을 통해서 관을 넣어서 시술하는 식이다. 박 센터장은 “개흉 수술이 어려운 환자와 기저질환을 갖고 있는 고령자에게 특히 유용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오랜 기간 사용한 인공 승모판막이 딱딱해져 심부전으로 입원을 되풀이해 온 80대 여성 환자만 해도 최근 삼성서울병원에서 TMVR 시술 후 증상이 크게 호전됐다.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매주 수요일마다 판막 질환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한 ‘판막 컨퍼런스’를 연다. 심장 초음파나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 등을 보면서 전문분야가 서로 다른 교수들(박성지‧한주용‧김은영‧김지훈‧최기홍)이 모여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결정하는 시간이다. “논의 과정에서 수술하는 쪽으로 바뀌거나, 수술 시기를 조정하기도 한다”고 한 박 센터장은 “환자에게 제일 적합한 치료가 가장 좋은 치료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다학제 진료를 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열린 판막 컨퍼런스에서도 환자 20여 명의 맞춤형 치료법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박 센터장은 조기 대응을 강조했다. “증상이 없어도 65세 이상이면 심장 초음파를 받아보는 게 좋아요. 특히 건강검진에서 심장 크기가 커졌다는 소견이 나오면 반드시 심장 초음파를 해봐야 합니다.”

변태섭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