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트럼프 '상호 관세' 타깃은 아시아 신흥국… "인도·태국 위험"

입력
2025.02.13 04:30
구독

인도, 관세율 3%→15%로 급증할 수도
대미 흑자국 베트남, 부담 커질라 '긴장'

2019년 8월 캘리포니아 롱비치 항구에 아시아 국가에서 온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롱비치=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2019년 8월 캘리포니아 롱비치 항구에 아시아 국가에서 온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롱비치=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으로 들어오는 외국산 물품에 상호 관세를 부과할 경우 가장 큰 부담을 지게 될 나라는 아시아 신흥국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크고 관세율이 높은 인도, 태국, 베트남은 바짝 긴장하며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12일(현지시간) 상호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 홀딩스는 11일 고객에게 보낸 메모에서 “신흥 아시아 경제국은 미국 수출에 대한 상대 관세율이 더 높아, 상호 관세에 따른 관세율이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상호 관세는 외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와 동일한 세율을 미국도 수입품에 부과하는 정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모든 수입품에 대한 10~20% 보편 관세 도입과 상호 관세 시행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철강 수입품에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준비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철강 수입품에 관세를 추가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을 준비하고 있다. 워싱턴=EPA 연합뉴스

상호 관세 주요 타깃으로는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국가들이 꼽힌다. 이들 국가가 미국산 제품에 매긴 관세율이 높은 탓이다. 마에바 쿠쟁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연구원은 “인도가 미국 수입품에 부과한 평균 세율은 그 반대 경우보다 10% 이상 높다”며 관세 차이 때문에 인도가 미국의 ‘보복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MUFG은행도 미국이 대(對)인도 관세를 현행 3%에서 15% 이상으로 대폭 끌어올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태국도 직격탄을 맞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354만 달러(약 51억4,000만 원) 흑자를 기록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출범했던 2017년보다 300% 넘게 급증한 규모다. 모건스탠리는 미국이 관세 격차를 줄이기 위해 인도와 태국에 대한 관세율을 4~6%포인트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1,235억 달러(약 178조 원)로 전년 대비 18% 뛴 베트남도 예외는 아니다.

11일 멕시코 누에보 레온의 한 철강회사에서 노동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누에보 레온=AFP 연합뉴스

11일 멕시코 누에보 레온의 한 철강회사에서 노동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다. 누에보 레온=AFP 연합뉴스

각국은 미국발(發) 관세 태풍을 피하기 위해 몸을 바짝 낮추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13일)을 앞둔 인도는 미국으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늘리기로 했다. 농산물 등 10개 항목에 대한 부분 관세 인하도 검토하는 한편, 미국산 장갑차 등 무기 수입도 추진 중이다.

태국은 에탄과 사료용 콩가루 등 미국 제품 구매를 늘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11일 내각 회의를 열고 미국의 관세 조치가 태국 농산물과 전자제품 수출에 미칠 영향을 확인하라고 농무부와 상무부에 지시했다. 베트남은 미국산 항공기와 LNG 수입을 늘릴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도입으로 아시아 신흥국 경제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미국이 높은 관세를 매길 경우 성장·투자·내수 등 모든 측면에서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 같은 조치가 교역 상대국의 보복을 부르고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등 미국 경제에도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미국 경제매체 CNBC방송은 전했다.

하노이= 허경주 특파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