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일본, 경제 사령탑 미국에 급파… 한국과 달리 '트럼프發 관세' 신속 대응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오른쪽) 당시 미국 상무장관 후보자가 10일 미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바라보고 있다. 워싱턴=AFP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미국발(發) 관세 폭탄을 막기 위해 경제 사령탑을 미국으로 급파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외국산 자동차에 25% 추가 관세가 붙을 경우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일본 자동차 산업은 치명타를 입기 때문이다. 한국도 일본과 사정이 비슷하지만, 12·3 불범 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로 정상 외교에 공백이 발생하면서 대응이 늦어지고 있다.
20일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장관은 다음 달 미국을 찾아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회담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은 조율 중이지만,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시행일인 3월 12일 이전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무토 장관은 러트닉 장관에게 일본의 대미 경제 기여도를 강조하며 "일본을 관세 부과 대상국에서 제외해 달라"고 직접 요청할 계획이다. 앞으로 남은 시간이 얼마 없는 만큼 양국 경제 수장 간 담판으로 관세를 피해 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무토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과도 만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방안을 협의한다. LNG 수입 카드는 일본이 미국에 관세 면제 대가로 준비한 선물이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미일 정상회담(7일) 당시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일 무역 적자 규모를 줄이기 위해 LNG 등 자원을 더 많이 사가겠다고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이 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미일 정상회담 공동 성명을 발표하며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를 가리키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이시바 총리가 미국을 다녀온 지 한 달도 안 지나 일본 정부가 다시 고위급 인사를 미국에 파견하는 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갈수록 위력을 더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율을 25%로 제시하면서 관련 계획을 4월 2일 발표한다고 예고했으나, 19일(현지시간) 미 플로리다주(州) 마이애미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 행사 연설에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목재 등에 대한 관세를 한 달 뒤 혹은 그보다 빨리 발표할 것"이라며 시기를 앞당겼다.
일본 정부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자동차 관세만큼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한다는 각오다. 철강·알루미늄은 대체가 어려운 고성능 제품을 수출해 관세 부과 영향이 크지 않다. 그러나 자동차는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 일본에서 자동차는 지난해 대미 수출 1위(28.3%) 품목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1%를 차지한다.
박성택(오른쪽)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2월 품목별 수출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스1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지난해 대미 수출 품목 1위(27%)가 자동차다. 관세율이 10%만 적용돼도 현대자동차 영업이익이 1조9,000억 원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올 정도로 한국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크다.
그러나 분주한 일본과 달리 한국은 미국발 관세 폭탄을 막기에 역부족인 모습이다. 정부가 내놓은 대책이라고는 '피해 업체 지원 방안' 정도다. 고위급 통상 당국자가 최근 미국을 찾았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는 없다.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이날 "관세 조치 영향이 가시화되면 업종별 추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