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한한령 해제 가시화, 한중관계 발전 기회 살려야

입력
2025.02.24 00:10
27면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타이양다오 호텔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면담하고 있다. 국회의장실 제공

우원식 국회의장이 7일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타이양다오 호텔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면담하고 있다. 국회의장실 제공

우원식 국회의장 방중 및 시진핑 국가주석 면담 이후 소원했던 한중 관계에 온기가 도는 모양새다. 중국이 이르면 5월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을 해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화장품·여행 등을 중심으로 한 산업계에서는 2017년 주한 미군의 사드 배치 이후 8년간 한중 관계의 걸림돌로 작용했던 한한령 해제가 현실화할지 예의주시하는 기류다.

한중 양국이 올해와 내년 각각 개최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모멘텀이다. 우선 중국의 APEC 정상회의 준비기구인 중국아태협력중심은 다음 달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할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10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APEC 회의에 앞서 양국 교류에 긍정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시 주석은 지난 7일 우 의장을 만나 ‘한중 관계의 안정성 유지’를 강조하며 “APEC 정상회의에 국가주석이 참석하는 것이 관례”라고 방한에 힘을 싣기도 했다.

같은 달 한중일 외교장관 회담도 일본에서 열릴 전망이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양자회담에서 자연스레 시 주석 방한과 중국 내의 한류 콘텐츠 유통 확대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가에선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전후로 왕 부장의 방한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중국이 화해 손길을 내민 상황에서 우리 정부도 중국과의 전략적협력동반자관계 발전을 위해 호응할 필요가 있다. 한중은 서로에게 중요한 전략적·경제적 파트너다. 중국이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고,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결 등 한반도 평화 전략의 핵심 관계국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관세전쟁 등 미국과 중국의 글로벌 패권 경쟁이 심화할 전망이지만 그럴수록 한중 관계를 친중, 반중 양자택일 관계로 바라보는 것은 국익에 도움이 안 된다. 그런 의미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일부 극우세력이 ‘혐중·반중 감정’을 지지층 결집의 불쏘시개로 이용하는 상황이 계속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모처럼의 해빙 기류에 찬물을 끼얹어서는 안 된다.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