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파나마운하·그린란드 정말 빼앗나… ‘중국 핑계’ 집요한 트럼프

입력
2025.02.03 19:05
수정
2025.02.03 19:16
15면
구독

국무장관 첫 해외출장지가 파나마
부통령 “덴마크가 美국익 못 지켜”
美안보 명분이지만 속내는 미지수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파나마 방문에 반대하는 한 활동가가 2일 파나마시티에서 루비오 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파시스트로 묘사한 선전물을 들고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파나마시티=AFP 연합뉴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의 파나마 방문에 반대하는 한 활동가가 2일 파나마시티에서 루비오 장관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파시스트로 묘사한 선전물을 들고 집회에 참여하고 있다. 파나마시티=AF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파나마운하·그린란드(덴마크령)의 미국 영토 편입’ 구상이 점점 진지해지고 있다. 주권 침해 논란에 아랑곳하지 않고 정말로 빼앗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집요한 중국 핑계가 정황 증거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州) 마러라고 사저에서 주말을 보낸 뒤 워싱턴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길에 기자들과 만나 “파나마가 미국과의 합의를 어기고 중국에 운하 운영을 맡겼다. 그것을 되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렇게 되지 않으면 아주 강력한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취임 뒤 첫 해외 출장지가 파나마였다는 사실도 의지의 방증으로 해석할 수 있다. 미 국무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을 통해 “루비오 장관은 파나마운하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과 통제력이 운하에 위협적이며, 운하의 영구 중립성을 담보해야 한다는 (미국과의)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예비 결정을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에게 알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즉각 변화(중국 영향력 축소)가 없으면 미국은 조약에 따른 자국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점을 루비오 장관이 분명히 했다”고 덧붙였다.

태평양과 카리브해 간 연결을 위해 1914년 파나마운하를 지은 미국은 운하의 영구 중립을 조건으로 1999년 통제·운영권을 파나마에 이양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간섭을 구실로 운하 통제권을 돌려받겠다는 주장을 하고 나선 것이다.

물리노 대통령은 루비오 장관 면담 뒤 기자회견에서 “파나마운하 통제·운영 관련 주권은 (외국 정부와의) 논의 대상이 아니다. 운하는 앞으로도 파나마가 운영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미국의 의심 해소를 위한 협의체를 제안하고, 자발적으로 중국과 거리를 두는 식으로 타협점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 정도의 조치가 트럼프 대통령을 물러서게 할지는 알 수 없다. 이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는 미국이 운하를 되찾아야 하는 이유로 운하 사용료가 ‘완전한 갈취’(비싸다)라는 점도 꼽았다”고 전했다. 중국 견제는 핑계일 뿐, 진짜 목적은 ‘운하 장악’일 수 있다는 뜻이다.

지난달 26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덴마크 미군 주둔 반대 시위에 한 시민이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팻말을 든 채 참가하고 있다. 코펜하겐=EPA 연합뉴스

지난달 26일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덴마크 미군 주둔 반대 시위에 한 시민이 미군 철수를 요구하는 팻말을 든 채 참가하고 있다. 코펜하겐=EPA 연합뉴스

그린란드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구사 전략은 비슷하다. JD 밴스 미국 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이 그린란드를 확보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역시 중국 위협 및 미국 안보가 명분이다. 밴스 부통령은 “미국 안보에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그린란드에 중국과 러시아가 이용하는 해로(sea lane)가 있는데, 그린란드를 지배 중인 덴마크가 자국 역할을 방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의 이익을 우선시한다”고 부연했다.

하지만 광물 등 그린란드의 자원을 둘러싼 이권이 트럼프 대통령 관심사라는 추측도 가라앉지 않고 있다. 밴스 부통령은 “덴마크는 그린란드에 천연자원 개발과 탐사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라면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박지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