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트럼프, 美국부펀드 설립 행정명령 서명… "틱톡 매입할 수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국부펀드 설립' 행정명령을 내렸다. 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국가 안보 위협 우려 탓에 미국에서 퇴출될 위기에 처한 중국계 짧은 동영상(숏폼) 플랫폼 '틱톡'을 이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 설명이다.
미국 CNN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미국 재무부와 상무부에 국부펀드 설립을 지시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약속했던 '연방정부 차원의 국부펀드 설립'을 이행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기금을 통해 미 연방정부가 틱톡을 매입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기자들에게 "우리는 아마 틱톡과 무엇을 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우리는 틱톡을 국부펀드에 넣을 수도 있고, 아니면 다른 부유한 사람들과 협력할 수도 있는 등 많은 선택지가 있다"고 말했다. 국부펀드를 통해 틱톡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인 지난달 20일 틱톡 금지를 75일간 미루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틱톡금지법에는 틱톡 모기업인 중국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시행일인 같은 달 19일부터 틱톡 앱의 신규 다운로드를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나 법 시행을 75일 동안 유예하고, 미국 기업이 틱톡 미국 사업의 지분 50%를 갖는 중재안을 제시했다. 현행 법은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 기업에 완전히 매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국부펀드를 통해 틱톡을 인수할 가능성은 낮다고 CNN은 지적했다. 틱톡 매수에 필요한 수천억 달러를 모을 수 있을지, 운영권을 누가 가질지 등 문제가 여전히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기술 법률 전문가인 앨런 로젠슈타인 미네소타대 로스쿨 교수는 "틱톡금지법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틱톡에서 20% 이상 지분을 보유할 수 없으며,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운영해서도 안 된다"고 CNN에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신설되는 국부펀드의 규모가 사우디아라비아를 언젠가 따라잡을 것이라고도 전망했다. 이날 서명식에 배석한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향후 12개월 내에 국부펀드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