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일본, 트럼프 '자동차 관세 25%' 예고에 초긴장… "日 기간산업 흔들린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8일 미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 사저에서 기자회견을 하며 오른손으로 질문자를 가리키고 있다. 팜비치=로이터 연합뉴스
일본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수입산 자동차 관세 25% 부과' 예고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일본 입장에선 대(對)미국 수출액 비중의 약 30%를 차지하는 자동차 품목에 고율 관세가 매겨지는 순간, 국가 경제 전체가 직격탄을 맞기 때문이다. "일본의 기간산업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州)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 사저에서 '자동차 관세를 어느 정도 부과할 것이냐'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마 4월 2일에 이야기할 텐데 2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은 즉각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어느 나라에 해당 관세를 부과할지 아직 밝히진 않았으나, 일본이 포함될 경우 관세가 10배로 불어나는 탓이다.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에 매기는 관세는 현재 2.5%다. '25% 관세' 현실화 땐 일본산 자동차 가격 급등으로 매출이 급감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자동차공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대미 자동차 수출량은 약 138만 대로, 전 세계 수출량의 30% 이상을 차지했다.
19일 경기 평택항 부근에 해외 수출용 차량이 줄지어 있다. 평택=연합뉴스
도요타자동차 같은 대기업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이미 '트럼프 리스크'를 예상하고 미국 내 투자를 늘리고 있어서다. 문제는 중견업체다. 대미 시장 의존도가 높지만 투자 여력이 없어 치명타를 입을 공산이 크다. 마쓰다자동차의 지난해 미국 시장 판매량(약 23만 대)은 전체의 50%를 넘었다. 후카오 산시로 이토추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NHK방송에 "도요타와 혼다 등 미국에 생산 거점을 둔 업체들은 미국 내 생산량을 늘릴 것"이라며 "미국 현지 생산 시설이 없는 중견 업체가 받을 타격은 크다"고 말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7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이야기를 들으며 천장을 바라보고 있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자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를 막는 데 총력전을 펼 방침이다. 자동차는 지난해 대미 수출액의 28.3%(6조261억 엔·약 57조 원)를 차지한 최대 수출 품목이다. 자동차 부품을 포함하면 34.1%에 달한다. 기무라 다카히데 노무라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니혼게이자이신문에 "관세율 25%가 적용되면 2년간 일본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2%가량 하락한다"며 "일본의 잠재성장률은 약 0.5%로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크다"고 짚었다.
경제적 타격만 걱정할 게 아니다. 정권 신뢰도 하락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지지율은 지난 7일 미일 정상회담 이후 1%포인트가량, 소폭이나마 상승했다. 정상회담에서 대일본 관세 이야기가 나오지 않아 '성공적 회담'이라는 긍정적 평가도 나왔다. 그러나 곧바로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국에 포함됐고, 이제는 자동차마저 그 대상이 될 위기에 처했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정부는 트럼프의 '(관세) 폭탄'에 (미일) 정상회담 평가도 달라지자 당혹스러워하며 '국가 경제 비상사태'에 준해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1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미국 정부에 일본 자동차 산업의 중요성을 고려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